여러가지

새마을금고 통장개설 간편정리

*No.1* 2017. 9. 16. 11:15

안녕하세요. 주 거래은행 어디를 이용하시는가요? 저는 집에서 가까운 새마을금고를 자주 이용하는편 입니다. 2금융권 이지만 지점수도 많고 또 다양한 금융상품의 혜택이 1금융권보다 더 낫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오늘은 그러한 새마을금고 통장개설 어떻게 진행되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과거 새마을금고라는 이름에서 요즘 앞에 MG를 붙여 MG새마을금고 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MG는 아마 마을금고의 약자를 줄여서 붙였다고 생각이 됩니다.


 



새마을금고 통장개설


신분증

은행권에서 통장개설을 하기 위해서는 필수로 지참해야 하는 것이 바로 신분증 입니다. 신분증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등이 있는데요. 만약 신분증을 지참하지 않는다면 통장개설을 하실 수 없으니 꼭 가지고 가셔야 합니다.



재직증명서

과거에는 통장개설을 위해서는 신분증 지참 및 은행방문만으로 이루어졌습니다. 하지만 통장이 대포통장이 되고 또 대포통장이 범죄에 사용이 많이 되기 때문에 통장을 개설하기 위해서 대부분의 은행들이 재직증명서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범죄 예방이겠죠?



개설제한

저도 얼마전에 알게된 사실인데요. 금융권은 모두가 정보공유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어느은행에 언제 통장을 만들었는지 기록이 남게 되는데요. 그래서 모든 은행권에서 한달에 1의 통장 개설만 가능 하다고 합니다. 새마을금고 통장개설 마찬가지겠죠?


 



횟수제한

한 은행에 통장을 여러개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필요이상으로 많은 통장을 같은 은행에서 만들려고 한다면 그 이유를 상세하게 은행원에게 설명을 하여야 하는데요. 특수한 상황이 아니고는 통장개설 횟수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상 새마을금고 통장개설 간편하게 알아보았습니다. 통장개설을 위해서는 신분증 및 재직증명서를 갖고 은행에 직접 내방하는 것이 통장개설을 위한 가장 정확하고 편한 방법임을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