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가지

4대보험 계산기 완벽정리

*No.1* 2017. 5. 11. 23:39

안녕하세요 월급을 받을때면 명세서를 확은 하게되는데요 저는 급여 명세서를 보면서 과연 얼마만큼의 세금을 납부했는지 꼭 확인을 하는 습관을 가지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노동자라면 꼭 납부해야할 세금인 4대보험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국민연금 공단홈페이지에 접속을 합니다. 포털검색 사이트를 이용해서 접속을 하시는 방법이 있으며 주소 www.nps.or.kr 입력 후 접속하시는 방법이 있는데 더 편하고 빠른 방법을 선택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국민연금 공단 홈페이지 입니다. 홈페이지에는 다양한 정보를 조회 할수 있는 메뉴들이 있는데요 그 중에서도 오른쪽 하단을 보시면 빨간색 테두리 안에 보이는 4대보험 계산기 버튼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버튼을 클릭합니다.



4대보험 계산기 중 먼저 연금보험료 계산 입니다. 본인이 받는 신고소득월액을 입력 합니다. 저는 임의로 3백만원을 입력 하였는데요 3백 만원에 대한 연금 보험료 총액 및 본인 부담금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소득액이 높아질수록 보험료의 납수액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은 고용보험료 계산 입니다. 고용업체의 근로자 수 를 입력한 후 마찬가지로 신고소득월액을 이력 하면 본인이 납부해야하는 고용보험료를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소득액과 근로자 수에 따라서 금액이 차이가 나니 확인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다음은 국민연금 계산 입니다. 앞서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본인의 월 소득 금액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납부해야할 국민연금이 자동으로 계산이 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글로자 부담과 사업자 부담이 5:5인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끝으로 산재보험 입니다. 보험율 및 업종 그리고 월평균 보수 등을 입력 하시면 보험료 총액을 산정 할 수 있는데요 여기서 참고할 점은 보험료 산정은 최대 10명지원에 산재보험료률은 천분로 표시가 됩니다. 즉 보험료를 산정하는 계산법은 월평균보수 X 보험료율 / 1,000 입니다.



4대보험 계산기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직장생활을 하는만큼 얼마만큼의 보험료를 납부하는지 알면 좀더 괜찮은 생활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며 오늘의 포스팅인 4대보험계산기 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